Follow

뉴스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세요📌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Register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원인부터 역대 사례까지 총정리 (Feat. 2018-2019 최장기 셧다운)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원인부터 역대 사례까지 총정리 (Feat. 2018-2019 최장기 셧다운) 1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은 더 이상 낯선 단어가 아닙니다. 뉴스에서 종종 접하게 되는 이 용어는 세계 경제 1위 대국인 미국의 행정 기능이 일시적으로 마비되는 심각한 상황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정부 기관이 문을 닫는 것을 넘어, 경제적 손실과 국가 신뢰도 하락 등 막대한 파급 효과를 낳기 때문에 전 세계가 주목하는 이슈이기도 합니다. 과연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은 왜 발생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과거에는 어떤 사례들이 있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이란?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US Federal Government Shutdown)은 미국 의회가 연방정부의 다음 회계연도 예산안을 처리하지 못할 경우, 정부 기관의 운영이 중단되는 사태를 말합니다. 미국의 회계연도는 매년 10월 1일에 시작되는데, 이때까지 새로운 예산안이 의회 상원과 하원을 모두 통과하고 대통령의 서명을 받지 못하면 셧다운이 발생하게 됩니다.

쉽게 말해, 행정부(정부)가 돈을 쓰기 위해서는 입법부(의회)의 허락을 받아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정치적 갈등으로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정부가 쓸 돈이 없어 문을 닫게 되는 것입니다. 이는 삼권 분립 원칙에 따라 입법부가 행정부를 견제하는 강력한 수단 중 하나로 작용합니다.

Advertisement

셧다운이 발생하면 모든 정부 기능이 멈추는 것은 아닙니다. 국방, 교통안전, 우편 등 국가 운영에 필수적인 핵심 부서는 예산이 없어도 공무원들에게 강제 근무 명령을 내려 업무를 지속합니다. 하지만 그 외의 비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들은 강제로 무급 휴가(furlough)를 떠나야 합니다. 이로 인해 약 200만 명에 달하는 연방 공무원들의 생계가 위협받고, 이는 곧바로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미국 경제 전반에 큰 타격을 줍니다.

📜 셧다운 제도의 역사와 배경

사실 처음부터 셧다운이 지금처럼 큰 문제로 여겨졌던 것은 아닙니다. 1980년 지미 카터 행정부 이전까지는 새 예산안이 통과되지 않더라도 정부 기관 운영을 지속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었습니다.

하지만 당시 법무부 장관이었던 벤저민 시빌레티(Benjamin Civiletti)는 ‘부족액 방지법(Antideficiency Act)’을 엄격하게 해석하여, 의회의 예산 승인 없이는 정부가 어떠한 지출이나 계약도 할 수 없다고 결정했습니다. 이 결정으로 인해 예산안이 통과될 때까지 관련 정부 기관의 업무를 중단하는 것이 법을 준수하는 유일한 방법이 되었고, 이것이 오늘날 셧다운의 직접적인 법적 근거가 되었습니다.

또한, 미국은 정부의 연간 ‘지출 계획’과 실제 ‘예산’을 별도로 처리하는 관행 때문에 상황이 더욱 복잡해집니다. 특정 사업에 대한 지출을 허락받고 나서도, 실제로 그 돈을 집행하기 위해 또다시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구조입니다. 이 때문에 단기성 예산안인 ‘지속결의안(Continuing Resolution)’으로 급한 불만 끄는 일이 반복되고, 이 단기 예산이 소진될 때마다 정치적 갈등과 셧다운 위기가 재현되는 것입니다.

💥 역대 주요 셧다운 사례 분석

미국 역사상 수많은 셧다운이 있었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큰 영향을 미쳤던 몇 가지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2013년 오바마케어 셧다운

2013년 10월, 버락 오바마 행정부 당시 ‘오바마케어(Affordable Care Act)’ 시행을 둘러싼 공화당과 민주당의 극심한 대립으로 16일간의 셧다운이 발생했습니다. 공화당은 오바마케어 예산 삭감을 주장하며 예산안 처리를 거부했고, 이로 인해 연방정부 기능이 마비되었습니다. 당시 셧다운으로 인해 약 240억 달러(한화 약 26조 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2018-2019년 역대 최장기 셧다운

2018년 12월 22일부터 2019년 1월 25일까지, 총 35일간 이어진 이 셧다운은 미국 역사상 가장 긴 셧다운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원인은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이 강력하게 추진했던 멕시코 국경 장벽 건설 예산을 둘러싼 갈등이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장벽 건설 예산 57억 달러가 포함되지 않으면 예산안에 서명하지 않겠다고 선언했고, 민주당은 이에 완강히 반대하며 맞섰습니다.

이 셧다운으로 인해 9개 정부 부처와 20여 개 산하 기관이 영향을 받았고, 약 80만 명의 연방 공무원이 월급을 받지 못했습니다. 일부 공무원들은 생계를 위해 임시 일자리를 구해야 했고, 교통안전청(TSA) 직원들의 병가가 급증하면서 공항 보안에 구멍이 뚫리기도 했습니다. 심지어 국립공원은 관리가 되지 않아 쓰레기로 뒤덮이고,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태는 35일 만에 임시 예산안이 통과되면서 일단락되었지만, 미국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습니다.

📉 셧다운의 경제적 및 사회적 영향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은 단순히 공무원들의 불편을 넘어 국가 경제와 사회 전반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칩니다.

  • 경제적 손실: JP모건 체이스는 2018-2019년 셧다운 당시 매주 미국의 GDP 성장률이 0.1~0.2%씩 감소한다고 분석했습니다. 공무원 급여 미지급으로 인한 소비 감소, 정부 계약 중단, 국립공원 폐쇄로 인한 관광 수입 감소 등 직접적인 손실뿐만 아니라, 국가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과 같은 간접적인 피해도 막대합니다.
  • 행정 서비스 마비: 국세청(IRS)의 세금 환급 업무 지연, 중소기업 대출 심사 중단, 여권 발급 지연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행정 서비스가 중단되어 큰 불편을 초래합니다.
  • 국가 신뢰도 하락: 세계 최강대국인 미국의 정치 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하지 못하고 행정 기능이 마비되는 모습은 국제 사회에서 미국의 리더십과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헌법 제54조에 따라 새로운 회계연도가 시작될 때까지 예산안이 의결되지 못하더라도, 특정 경비는 전년도 예산에 준하여 집행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미국과 같은 셧다운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은 극심한 정치적 대립이 낳은 결과물이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과 국가 경제에 돌아갑니다. 정치적 타협과 대화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중요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뉴스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세요📌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Advertisement